2023년 예산안이 발표됐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내년에 인상되는 지원금 6가지를 정리해봤는데요.
기초연금,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참전 명예수당,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장애수당 그리고 국민 취업지원제도까지 각각 얼마씩 어떻게 오르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달라지는 지원금 알아보기
1. 기초연금 인상
65세 이상의 소득 하위 70% 어르신에게 매월 지급되는 기초연금이 금액이 30만 원에서 35만 원이 되는지 혹은 40만 원이 되는지 참 말이 많았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내년에는 32만 2천 원으로 결정이 됐습니다. 사실 기초연금 40만원은 윤 대통령의 공약이었지만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년에는 당장 실행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합니다.
사실 이 부분을 정말 많이 기대하셨을 텐데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증가한 부분에는 감사할 뿐입니다.
2. 생계급여 인상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가 4인 가족 기준으로 154만 원에서 162만 원으로 오릅니다.
생계급여는 중위소득이 30%로 한다고 이렇게 서로 연동이 되어 있기 때문에 중위소득이 오르면 생계급여도 자동으로 함께 오릅니다. 그런데 여기서 궁금한건 따로있는데요.
현재 중위소득 30%인 생계급여 대상자가 35%로 확대되는지 이 부분이 2023년에 논의될 예정이라는 그 자료가 몇 주 전에 나왔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생계급여는 2023년에도 여전히 중위소득의 30%입니다. 바뀐 건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2023년에는 생계급여를 중위소득의 30%가 아니라 35%로 올린다는 내용을 논의한다고 하니까 이 논의의 진행 과정을 조금 더 지켜봐야겠습니다.
3. 참전 명예수당
현재 35만 원인 참전 명예수당이 내년부터는 38만 원으로 3만 원 오른다고 합니다. 참고로 이 3만 원이라는 인상 폭은 역대 정부 중에서 최대치의 인상인데요.
여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가서 매년 이렇게 3만 원씩 올릴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내년에는 38만 원, 2024년에는 41만 원, 25년에는 44만 원, 26년에는 47만 원 그리고 27년에는 50만 원이 되는 겁니다.
4. 긴급 복지
기초생활수급자는 아니지만 코로나나 수해 등 다양한 이유로 갑자기 생활이 어려워졌을 때 말 그대로 긴급하게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 그게 바로 긴급 복지 제도입니다.
현재 4인 가구 기준 월 154만 원인데요. 내년부터는 162만 원으로 인상된다고 합니다.
참고로 여기서 많이들 헷갈리시는데요.
우리가 지금 얘기하고 있는 건 긴급복지제도 생계지원금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생계 급여랑은 전혀 다릅니다. 그리고 두 개의 지원금을 동시에 받을 수 없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장애수당
장애수당은 4만 원에서 6만 원으로 오릅니다. 장애 수당이 2015년 이후에 거의 7년 만에 지금 처음인데요.
만 18세 이상 중증 장애인 분들이 받으시는 장애인 연금도 매달 30만 8천 원이었는데 2023년부터는 32만 2천 원으로 인상됩니다.
그리고 한 달에 5만 원씩 출퇴근 비용을 지급받기 위해서는요 근로능력 취약 장애인이어야만 했는데 내년부터는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중증 장애인이기만 하면 됩니다.
이렇게 지원받을 수 있는 기준이 조금 완화되면서 더 많은 분들이 출퇴근 비용 5만 원 지원을 받으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6. 국민취업지원제도
이 제도를 통해서 6개월 동안 구직 촉진수당 50만 원을 지급했었는데요. 앞으로는 기존 50만 원은 그대로 주고 여기다가 부양 가족이 있으면 1인당 10만 원씩 추가로 지급한다고 합니다.
만약 부양가족이 2명이라면 50만 원에 10만 원씩 2명을 더해서 총 70만 원을 지급하는 건데요. 이렇게 4명의 부양가족까지 추가 10만 원씩을 추가로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빨리 취업하면 일종의 보너스 같은 그런 취업 성공 수당도 나오는데요. 이 금액도 현재 50만 원인데 최대 125만 원까지 늘어난다고 합니다.
2022.08.18 - [정보] - 2022년 기초연금 수급자격 및 못받게 되는 경우(65세 이상 필수)
2022년 기초연금 수급자격 및 못받게 되는 경우(65세 이상 필수)
오늘은 기초연금을 못 받는 이유 12가지와 기초연금 개정으로 바뀐 기초연금 정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기초연금의 경우 처음부터 못 받는 분들도 계시지만 기초연금을 받다가 도중에 중
top-pick.tistory.com
2022.08.17 - [정보] -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방법 및 절차(지원내용)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방법 및 절차(지원내용)
요즘 정말로 취업하기 힘든 가운데 코로나까지 겹쳐지게 되면서 대학 졸업뿐만 아니라 취업까지 합격하는게 더욱 힘들어 졌는데요. 혹시 국민 취업 지원 제도에 대해서 알고 계세요? 오늘은 국
top-pick.tistory.com
이렇게 오늘 정리한 사안들은 지난 8월 30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내년 예산안을 확정하고 다음 달 2일에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기초연금, 생계급여, 장애수당, 국민취업지원제도, 긴급복지제도,참전 명예수당 등 꼼꼼하게 확인하고 나에게 해당되는 제도가 있다면 꼭 신청해서 지원받으시기 바랍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연말정산 미리 확인하고 세액공제 많이 받는 방법 (0) | 2022.11.03 |
---|---|
2022 독감 예방접종 가격 및 무료 독감 예방접종 시기 안내 (0) | 2022.10.26 |
2022년 기초연금 수급자격 및 못받게 되는 경우(65세 이상 필수) (0) | 2022.08.18 |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방법 및 절차(지원내용) (0) | 2022.08.17 |
전세계약 시 주의사항 4가지(확정일자, 근저당, 반환보증보험) (0) | 2022.08.11 |
댓글